×
{"type":"img","src":"https://cdn.quv.kr/dftb6oqj3%2Fup%2F5e69ee5e7eac2_1920.png","height":"60"}
  • 회사소개
  • 필름소개
  • 제품안내
  • 필름자료실
  • 고객지원
  • {"google":["Questrial","Noto Sans"],"custom":["Noto Sans KR"]}
    ×
     
     
    섹션 설정
    {"type":"img","src":"https://cdn.quv.kr/dftb6oqj3%2Fup%2F5e6ae529c5c28_1920.png","height":"40"}
  • 회사소개
  • 필름소개
  • 제품안내
  • 필름자료실
  • 고객지원
  • 필름소개

    FILM INFO

      HOME > 필름소개 > PET필름의 가공

    필름소개

    FILM INFO

    PET필름의 가공

    폴리에스터 필름에 여러특성의 물질을 코팅, 라미네이팅, 기타 기능을 부여하여 새로운 용도의 부가가치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폴리에스터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필름으로서 각종 가공처리가 가능하며 방향족 탄화수소, ketone계, ether계 용매에

    안정하여 통상의 coating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polyethylene등의 압출 laminate, 금속박, 직포등의 면상소재와 lamination이 가능합니다.

    폴리에스터 필름의 가공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습니다.

     

     

    Coating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상에 용도에 따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재로 처리할 수 있는 공정을 말합니다. 코팅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방법도

    용도나 코팅제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코팅이란 기재 전면에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코팅을 할 경우도 있습니다.

    용도별
    주성분
    코팅방법
    코팅형태
    특성 및 자재
    종이의
    Sizing
    백토 또는 아연와+비닐수지
    백토 또는 아연와+스타치
    에어나이프, 롤
    에멀죤
    평활성이 높음
    인쇄성 양호
    방습
    비닐덴 수지
    비닐 수지
    N.C
    롤,그라비어
    롤,그라비어
    롤,그라비어, 디핑
    용제형
    용제형
    용제형
    지류, 필름, 셀로판용
    셀로판 지류용
    셀로판용
    열접착
    PVC-PVDC
    Poly Amide
    Ethylene+Vinyl Acetate
    Poly Ethylene
    Micro Wax-Paraffine
    롤, 그라비어
    롤, 그라비어
    Hot Melt
    압출코팅
    Hot Melt 
    용제형
    용제형
    용융형
    용융형
    용융형
    지류, 박
    지류, 박
    지류, 박
    플라스틱, 지류, 박
    플라스틱, 지류, 박 
    광택
    Poly Amide
    PVC 또는 PVDC
    N.C
    Amide Alkyd계
    Phenol계
    롤, 그라비어
    롤, 그라비어
    롤, 그라비어
    그라비어
    그라비어 
    용제형
    용제형
    용제형
    용제형
    용제형
    내열성이 적다
    내열성이 적음, 종이 인쇄용
    내열성이 크다
    열경화성
    열경화성 
    Primer
    Poly Amide
    PVC
    Iso Cyamate
    그라비어
    그라비어
    그라비어
    용제형
    용제형
    용제형
    박인쇄전
    박인쇄전
    미처리, PP용
    박리
    Silicone
    Poly ethylene
    금속비누
    롤, 그라비어,에어나이프,
    압출코팅
    에어나이프
    용제형
    용융형
    에멀죤
    박리용
    박리용
    미끄럼성이 크다

    코팅의 목적에 의한 분류

    코팅의 목적내 용
    사이징 (Sizing)을 위한 Coating일반적으로 종이류에 인쇄할 때 평활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행하며 이것을 인쇄할 경우 신축변형을 없애기 위하여 미리 수분을 약간 코팅하여 스트래스를 없애고 다시 건조하는 작업입니다.
    광택을 위한 Coating

    가장 많이 쓰이는 코팅으로 비닐계의 수지를 코팅한 후 가열된 면을 고운 스텐레스판에 밀착, 프레스하여 광택을

    냅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인쇄에 열경화성 수지를 코팅하여 고열에서 경화시키면 광택이 나고 내마모성이 강한 표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열접착을 위한 Coating자동포장용 포장재는 대부분 그 자체가 열접착성을 가져야 하므로 용제형의 열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열접착제를 코팅할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열접착 온도에 따라 기재와 잉크, 점착제등의 내열성을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Primer Coating인쇄나 접합시 기재에 바로 앙크나 접착제가 코팅되어 접착강도가 나올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기재와 잉크 사이에 양쪽 모두 접착력을 주는 어떤 물질을 코팅하여 잉크와 접착제가 기재에 간접적으로나마 강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에 내마모성이 강한 N.C계의 잉크를 인쇄하여야 할 경우 접착력이 나쁘므로 폴리아미드계의 P.C를 하면 접착이 강해지고 표면은 N.C의 강한 피막을 얻을 수 있습니다.
    표면 보호피막을 위한 Coating종이나 알루미늄박의 인쇄는 표면에 해야 하고 포장재로서 내성이 필요하므로 보호피막을 코팅합니다.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은 수지로 코팅하는 것을 인쇄와 동시 행하므로 OP (Over Printing)이라 하며, 광택을 겸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코팅하여 고열로 경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박리를 위한 Coating점착성 테이프의 이면이나 스티커의 받침종이 등은 점착제가 깨끗이 떨어져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수지의 박리제를 많이 쓰며 비극성의 수지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방습, 방투기를 위한 Coating방습포장이나 진공포장일 경우 방습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로 비닐계나 비닐덴계 또는 NC계의 수지를 코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큰 예로 방습셀로판(MSAT)이 있습니다.

    코팅의 방법에 의한 분류

    코팅 방법
    내 용
    Roll Coating
    (롤 코팅)
    고무 롤에 코팅제를 묻혀 적당한 압력으로 코팅하는 방법입니다.
    피닛셔 롤을 써서 2단코팅을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 때 기재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롤을 회전시키는 다이렉트 코팅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속도를 늦춰 회전시키는 리버스 코팅이 있습니다.
    Gravure Coating
    (그라비어 코팅)
    1도 인쇄 방식입니다.
    균일한 코팅과 많지 않은 코팅량일 경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Air Knife Coating
    (에어나이프 코팅)
    코팅제를 기재에 적신 후 강한 공기를 가느다란 노즐 립프로 불어 여분을 제거하고 균일하게 코팅하는 방법입니다.
    종이의 Sizing에 많이 사용됩니다.
    Dipping
    엄격하게 코팅과는 구분되지만 양면을 동시에 코팅할 필요가 있을 경우 코팅용액에 적셔서 프레스 롤 사이를 통과시키면 코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Extrusion Coating
    폴리에틸렌을 용융압출과 동시에 코팅하는 것으로 일종의 필름접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Laminating

     

    Lamination이란 일반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얇은 층을 겹쳐서 충분히 접착하여 일체화 시켜 단층을 형성하는 가공을 Lamination(접합)이라고 합니다.

    Lamination의 어원은 라틴어로 라미날 (Laminal:박층을 만들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침적 (inpregnating), 도포 (coating) 기술이 라미네이팅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특히 압출접합 (extrusion lamination)은 그 이후 개발된 가장 중요한 가공법으로 미국의 DuPont, Smith Paper社등이 개발하여 1949년 Bemis Bag社에서

    비료 포대로 사용한 것이 실용화의 시작이었습니다.

    laminating의 가공방법

    Wet Lamination

    일명 글루 라미네이션 (Glue Lamination)이라고도 합니다.

    알루미늄 박과 종이의 접합과 같이 한쪽의 수분이 투과증발 할 수 있는 원단일 경우 수용성 호제(湖劑)로 접합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제1급지와 제2급지에서 호제를 도포한 즉시 접합하여 건조후드를 통과시켜 접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때 사용하는 호제로는 전분, 카세인, PVA 등의 수용액이나, 초산비닐, 아크릴계의 에멀죤을 사용합니다.

    기재의 결합은 어느 한쪽이 투기성이 큰 것이라야 하므로 작업가능 기재에 한정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작업이 손쉬운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주의하여야 할 점은 자동포장에 걸리는 권상제품일 경우 핏치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신축하는 수가 많으므로 각 롤마다 check할 필요가 있습니다.

    Wet Lamination의 접착제 종류

    구분
    품명
    용도
    특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종이, 셀로판, 알루미늄박
    카세인과 혼합 사용
    EVA
    종이, 직물, 합판
    종이접착속도가 크다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산에스텔
    플라스틱 + 종이 또는 알루미늄박
    내열성 향상
    비닐아세테이트, 마레인산에스텔
    플라스틱 + 종이 또는 알루미늄박
    취기가 적다
    아크릴 중합물
    금속 + 플라스틱
    알칼리를 가하면 점도 상승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
    폴리올레핀+종이 또는 알루미늄박

    에폭시수지
    금속판 + 목판
    사용전 경화제 첨가
    우레탄수지
    알루미늄박 또는 플라스틱의 하도
    이소시아네이트 잔류 주의
    페놀수지
    목판, 금속판
    PVA 또는 고무라텍스 혼합 사용
    고무라텍스
    플라스틱, 종이, 직물
    카세인과 혼합 사용


    전분
    종이, 골판지

    카세인
    종이코팅, 종이, 나무
    PVA 또는 고무라텍스 혼합 사용
    젤라틴
    지관 제조
    고속 접착
    규산소다
    종이, 알루미늄박
    금속접착시 화학반응
    폴리비닐알코올
    종이
    그레이드가 많음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공중합
    종이, 알루미늄박, 라벨
    내수성 있슴
    요쇼 또는 멜라민 포르말린 수지
    한판, 종이, 플라스틱
    비닐알콜 또는 전분과 혼합사용
    폴리에틸렌 이민
    셀로판, 알루미늄박, PET, PVDC
    하료제
    폴리비닐피로리돈
    종이
    가격이 비쌈

    가공기계중 비교적 간단한 기계로서 국내에서도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접합기는 크게 네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

    1) 급지부 (Unwinding Part)

    2) 라미부 (Lamination Part)

    3) 건조부 (Drying Part)

    4) 권취부 (winding Part)

    Dry Lamination

    용제형 드라이라미(solvent type)

    접착제를 기재에 도포한 뒤 건조후드에서 용제를 증발시키고 난 후, 접착필름을 압착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접착제가 점착성이 있거나 점착성이 없는 것은 가열하여 접착시킵니다. 이 때 기재의 투기성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필름과 필름의 접착이나 필름과

    알루미늄박의 접착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때의 접착제는 락카형을 많이 사용하므로 Lacquer Lamination 이라고도 합니다. 기계구조로는 다른 것과 달리 접착제는 코팅한 후 긴 후드를

    거치는 동안 코팅면이 가이드롤에 닿지 않고 라미롤까지 가야 하며, 점착성의 접착제인 경우에는 코팅 및 라미롤 사이즈는 원단폭과 꼭 맞거나 작어야

    묻어나지 않습니다.

    Dry Lami의 접착제는 대개가 경화성 수지이므로 사용시에 적량을 배합하여 사용하고 여분은 냉암소에 보관하되, 48시간 이상을 방치하면 굳어지거나

    접착력이 약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Dry Lamination의 접착제 종류

    용도주성분기재비고
    필름접합 (1액형)VC-VAc 공중합물PVC + PVC
    종이셀로판접합 (1액형)Acryl계MSAT + 종이Emulsion type 가능
    필름접합 (1액형)Poly Iso PreneMSAT + PP
    필름접합 (1액형)Poly Vinyl EsterPolyester + Polyester
    은박필름접합 (1액형)천연고무계알루미늄박 + 필름
    필름접합 (2액형)Iso Cyanate EsterNylon + PE, PP + PELife cycle 이 있음

    스티커 원단이나 점착테이프류의 코팅은 상식과는 달리 박막처리 한 면, 또는 박리지의 박리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라미 또는 와인딩 후 지면에 전이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면에 코팅을 하면 용제와 함께 대부분이 흡수되어 점착이 되지 않으며 코팅량도 많이 사용하여야 합니다.

    가장 어려운 점은 기포가 들어가거나 용제가 남아서 접합후에 기화하여 Tunnel 현상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건조한 후에 접합하고 라미롤에서 완전히 배기하여

    접합하도록 프레스롤의 압력을 높여 작업하여야 합니다.

    2액형의 접착일 경우 접착효과가 경시적으로 살아나므로 적어도 24시간 ~ 48시간 후에야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많은 경험에 의하여 짐작해서 작업하지 않으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무용제형 드라이라미(Solventless Dry Lamination)

    드라이라미는 지금까지 용제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형 타입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무용제형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용제 가격의 등락
    2) 배기로 인한 공해문제
    3) 용제건조를 위한 열비용
    4) 작업속도 향상의 제한 (건조시간)
    5) 건조를 충분히 해도 잔취가 남음
    6) 도포량을 적게 하되 초기점착력 향상
    7) 건조후드가 필요 없으므로 설비가 콤팩트하여 장소를 적게 차지함.

     

    다만 무용제형, 즉 고형분 100%의 접착제를 코팅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1) 점도가 높으므로 코팅이 어렵다.
    2) 채산성을 위하여 필요최소량을 코팅하여야 한다.
    3) 초기접착력과 코팅을 쉽게 하기 위한 상반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4) 소량을 균일하게 코팅하여야 한다.

    Hot Melt Lamination

    일명 왁스라미 (Wax Lamination)이라고도 합니다.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왁스 등을 접착제로 써서 기재에 코팅한 후 굳어지기 전에 다른 기재를 접합하여

    쿨링 롤에서 왁스를 고화 접헙하는 방법입니다. 

    기재의 결합은 알루미늄박 + 종이, 종이 + 종이, 알루미늄박 + 셀로판, 셀로판 + 셀로판, 플라스틱필름 + 종이 등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고방습성과 배수성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이 접합방법은 왁스를 고화하기 위한 냉각 롤은 필요하지만 휘발물질이 없으므로 건조장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Hot Melt type 접착제의 종류

    품 명용 도특 성
    마이크로 크리스탈링 왁스금속 + 종이접착력 약함. 방습목적
    파라핀 왁스인너씰접착력 약함. 방습목적
    EVA종이 + 알루미늄 박히트씰, 광택코팅
    부틸고무셀로판 + 셀로판
    로진원지 접착
    우레탄OPP + CPPNCO+OH의 경화

     

    진공증착

     

    고진공 상태에서 금속 (Al, Zn, Ag등)을 가열,  용융, 증발시켜 Polyester film상에 얇게 융착, 응고시키는 공정을 말합니다.

    이때 반드시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여야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고 비점을 낮출 수 있어 이를 진공증착 이라고 합니다.

    진공증착은 원래 Foil이 갖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없는가에 착안하여 금은사 및 포장용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도전성 Film 전자부품용 회로기판, Video tape 등의 기능성 제품에도 진공증착 방식이 응용되고 있습니다.

    응용기술

    Base Film 으로는 PET, Nylon(PA), PVC, PC, CPP, OPP 등이 사용되며 Film의 두께는 4 ~ 250 μ 이 일반적 입니다.

    또한 증착재료로는 Aluminum (Al)이 대부분 이지만  그 외에 금(Au), 은(Ag), 동(Cu), 크롬(Cr), 주석(Sn)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막 두께는 0.2μ 이하로써 일반적으로 0.05μ (500A) 전후의 두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응용분야로 해서 포장용, 금은사, Hot stamping, 장식용, 점착 Sheet, 단열재, 농업용, 일조조정, Condenser, 도전성 Film, 전자파 Shield용 등이 있고

    그 외에 많은 분야에서 응용전개가 되고 있습니다.

    진공증착 공정

     

    ① 진공계

    ▣ 진공의 필요성
         - 증발 입자의 평균 자유행로 증대
         - 산화 방지
         - 불순물 혼입 방지
         - 증발온도의 Down

     

    ▣ 진공도
         - Upper Section : 10-2 Torr (=mmHg)
         - Lower Section : 10-4 Torr

     

    ② 증발계

    ▣ 고주파유도가열 방법
        -고주파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목을 가열하는 그릇을 Crucibl (도가니)이라하여 Crucibl Type 이라고도 합니다.

     

    ▣ 저항열을 이용한 Boat 가열방법
        - 전기저항체인 Boat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가열시킨후 Al Wire를 연속적으로 Feeding하는 방법으로 Boat Type이라고 합니다.

     

    ▣ Al 순도
        - 99.99% : Metallc Yarn
        - 99.90% : Packaging

     

    ▣ Al 증착두께
        - 금은사 : 1.23 Ω/
        - 포장용 : 1.12 Ω/
        - 콘덴서용 : 1.5 Ω/, 2.0 Ω/, 3.0 Ω/

     

    ③ 권취계 : 반연속식 증착  (증착속도 : 300m/min)

    용도

    기능별용 도
    광택성
    산소투과 억제성
    전도성
    빛반사성
    · 금은사, 벽지
    · 포장용 
    · Condenser 
    · Solar energy control film,거울
    두께별용 도
    12
    25~38
    4.6, 5.6, 6.8, 11.5, 16
    50 ~ 150
    · 금은사, 포장용
    · 금은사, 자수용
    · Condenser 
    · Sticker, Calander, Spangle 

    SKC 증착제품의 종류

    S600
    S688
    S689
    'Skyrol' S600 은 단면 증착을 한 polyester film으로 특히 광택성 및 barrier성이 요구되는 flexible packaging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Skyrol' S688 은 한쪽면에 인쇄적성을 향상시킨 화학처리를 하였고 반대면에 증착을 한 polyester film입니다.  S688은 flexible packaging용으로 폭 넓게 사용되며, 특히 고품질의 인쇄가 필요할 경우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Skyrol' S689 는 포장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metal adhesion을 향상시킨 단면 증착필름으로 이산화탄소, 질소 등 기체를 밀봉할 수 있는 우수한 기체 비투과성 및 barrier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tamping foil

     

    개요

    Polyester Film상에 여러 가지 다층 기능성 Layer를 Coating 하여 이것을 전사하고자 하는 물체에 heat와 pressure로써 전사시키는 Dry Printing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기능

    이것은 보통 인쇄에서 갖지 못하는 광택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color 변경이 용이하고, printing  방식이 간단하며, Plastic 표면 도금 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그 용도의  다양화와 더불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구분

    · Hot stamping foil

     - Stamping foil은 대개 이 부류에 속하며 열에 의해 전사시키는 제품을 말합니다.

     

    · metallized stamping foil

     - Al type : 현재 생산하고 있는 일반적인 item
     - Cr type : 자동차용에 사용되는 내구성이 좋은 foil

     

    · Pigment foil

     - 알루미늄 광택성을 이용하지 않고 안료의 불투명성을 이용한 foil

     

    · Brushed foil (Hairlined film)

     - Hair line 모양의 무늬가 있는 foil   (주로 전자제품에 사용됩니다)

     

    · Woo Grain foil

     - Wood 모양의 무늬가 있는 foil

     

    ·  Pressure sensitive foil

     - 압력만 가지고 전사시키는 제품을 말합니다.

    구조

    Carri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PET층

    Release(이형층)

    Lacquer(착색층)

    Al (증착층)

    Adhesives(접착층)

    역할

    · 이형
      Stamping된 부분이 Film과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Coating된 두께에 따라 이형효과가 다릅니다.

    · 착색
      알루미늄층을 보호하고 Color를 부여하기 위해 주로 경화형Resin과 Dye를 혼합한 액을 Coating하는 공정이며 Stamping foil의 내구성, 내후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증착
      광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시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크롬, 금, 은증착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접착
      Stamping을 하고자 하는 피착제 종류에 따라 적합한 Resin을 선택하여 Coating 하는 공정이며 전사할 피착제에 따라  Formulation 이 다릅니다.

      접착공정은 Stamping Foil 제조공법상 가장 핵심되는 부분입니다.

    필름소개

    FILM INFO

    PET필름의 가공

    폴리에스터 필름에 여러특성의 물질을 코팅, 라미네이팅, 기타 기능을

    부여하여 새로운 용도의 부가가치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폴리에스터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필름으로서 각종 가공처리가 가능하며 방향족 탄화수소, ketone계,

    ether계 용매에 안정하여 통상의 coating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polyethylene등의 압출 laminate, 금속박, 직포등의 면상소재와

    lamination이 가능합니다.

    폴리에스터 필름의 가공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습니다.



    Coating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상에 용도에 따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재로

    처리할 수 있는 공정을 말합니다. 코팅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방법도 용도나 코팅제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코팅이란 기재 전면에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코팅을 할 경우도 있습니다.

    코팅의 목적에 의한 분류

    코팅의 방법에 의한 분류


    Laminating


    Lamination이란 일반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얇은 층을 겹쳐서 충분히

    접착하여 일체화 시켜 단층을 형성하는 가공을 Lamination(접합)이라

    고 합니다.

    Lamination의 어원은 라틴어로 라미날 (Laminal:박층을 만들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침적 (inpregnating), 도포 (coating) 기술이 라미네이

    팅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특히 압출접합 (extrusion lamination)은 그 이후 개발된 가장 중요한

    가공법으로 미국의 DuPont, Smith Paper社등이 개발하여 1949년

    Bemis Bag社에서 비료 포대로 사용한 것이 실용화의 시작이었습니다.

    laminating의 가공방법

    Wet Lamination

    일명 글루 라미네이션 (Glue Lamination)이라고도 합니다.

    알루미늄 박과 종이의 접합과 같이 한쪽의 수분이 투과증발 할 수 있는

    원단일 경우 수용성 호제(湖劑)로 접합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제1급지와 제2급지에서 호제를 도포한 즉시 접합하여 건조후드를 통과

    시켜 접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때 사용하는 호제로는 전분, 카세인, PVA 등의 수용액이나, 초산비닐,

    아크릴계의 에멀죤을 사용합니다.

    기재의 결합은 어느 한쪽이 투기성이 큰 것이라야 하므로 작업가능

    기재에 한정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작업이 손쉬운 점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습니다.

    다만 주의하여야 할 점은 자동포장에 걸리는 권상제품일 경우 핏치관리

    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신축하는 수가 많으므로 각 롤마다 check할

    필요가 있습니다.

    Wet Lamination의 접착제 종류

    가공기계중 비교적 간단한 기계로서 국내에서도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접합기는 크게 네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

    1) 급지부 (Unwinding Part)

    2) 라미부 (Lamination Part)

    3) 건조부 (Drying Part)

    4) 권취부 (winding Part)

    Dry Lamination

    용제형 드라이라미(solvent type)

    접착제를 기재에 도포한 뒤 건조후드에서 용제를 증발시키고 난 후,

    접착필름을 압착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접착제가 점착성이 있거나 점착성이 없는 것은 가열하여 접착시킵니다.

    이 때 기재의 투기성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필름과 필름의 접착이나

    필름과 알루미늄박의 접착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때의 접착제는 락카형을 많이 사용하므로 Lacquer

    Lamination 이라고도 합니다. 기계구조로는 다른 것과 달리 접착제는

    코팅한 후 긴 후드를 거치는 동안 코팅면이 가이드롤에 닿지 않고

    라미롤까지 가야 하며, 점착성의 접착제인 경우에는 코팅 및 라미롤

    사이즈는 원단폭과 꼭 맞거나 작어야 묻어나지 않습니다.

    Dry Lami의 접착제는 대개가 경화성 수지이므로 사용시에 적량을

    배합하여 사용하고 여분은 냉암소에 보관하되, 48시간 이상을 방치하면

    굳어지거나 접착력이 약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Dry Lamination의 접착제 종류

    스티커 원단이나 점착테이프류의 코팅은 상식과는 달리 박막처리 한 면,

    또는 박리지의 박리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라미 또는 와인딩 후 지면에

    전이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면에 코팅을 하면 용제와 함께 대부분이

    흡수되어 점착이 되지 않으며 코팅량도 많이 사용하여야 합니다.

    가장 어려운 점은 기포가 들어가거나 용제가 남아서 접합후에 기화하여

    Tunnel 현상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건조한 후에 접합하고 라미롤에서

    완전히 배기하여 접합하도록 프레스롤의 압력을 높여 작업하여야

    합니다.

    2액형의 접착일 경우 접착효과가 경시적으로 살아나므로 적어도

    24시간 ~ 48시간 후에야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많은 경험에 의하여

    짐작해서 작업하지 않으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무용제형 드라이라미(Solventless Dry Lamination)

    드라이라미는 지금까지 용제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형 타입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무용제형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용제 가격의 등락
    2) 배기로 인한 공해문제
    3) 용제건조를 위한 열비용
    4) 작업속도 향상의 제한 (건조시간)
    5) 건조를 충분히 해도 잔취가 남음
    6) 도포량을 적게 하되 초기점착력 향상
    7) 건조후드가 필요 없으므로 설비가 콤팩트하여 장소를 적게 차지함.


    다만 무용제형, 즉 고형분 100%의 접착제를 코팅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1) 점도가 높으므로 코팅이 어렵다.
    2) 채산성을 위하여 필요최소량을 코팅하여야 한다.
    3) 초기접착력과 코팅을 쉽게 하기 위한 상반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4) 소량을 균일하게 코팅하여야 한다.

    Hot Melt Lamination

    일명 왁스라미 (Wax Lamination)이라고도 합니다. 가열에 의해 용융

    되는 왁스 등을 접착제로 써서 기재에 코팅한 후 굳어지기 전에 다른

    기재를 접합하여 쿨링 롤에서 왁스를 고화 접헙하는 방법입니다. 

    기재의 결합은 알루미늄박 + 종이, 종이 + 종이, 알루미늄박 + 셀로판,

    셀로판 + 셀로판, 플라스틱필름 + 종이 등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고방습성과 배수성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이 접합방법은 왁스를 고화하기 위한 냉각 롤은 필요하지만 휘발물질이

    없으므로 건조장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Hot Melt type 접착제의 종류


    진공증착


    고진공 상태에서 금속 (Al, Zn, Ag등)을 가열,  용융, 증발시켜

    Polyester film상에 얇게 융착, 응고시키는 공정을 말합니다.

    이때 반드시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여야 금속의 산화를 방지하고 비점을

    낮출 수 있어 이를 진공증착 이라고 합니다.

    진공증착은 원래 Foil이 갖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없는가에 착안하여 금은사 및 포장용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도전성 Film 전자부품용 회로기판, Video tape 등의 기능성

    제품에도 진공증착 방식이 응용되고 있습니다.

    응용기술

    Base Film 으로는 PET, Nylon(PA), PVC, PC, CPP, OPP 등이 사용

    되며 Film의 두께는 4 ~ 250 μ 이 일반적 입니다.

    또한 증착재료로는 Aluminum (Al)이 대부분 이지만  그 외에 금(Au),

    은(Ag), 동(Cu), 크롬(Cr), 주석(Sn)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막 두께는 0.2μ 이하로써 일반적으로 0.05μ (500A) 전후의 두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응용분야로 해서 포장용, 금은사, Hot stamping, 장식용, 점착

    Sheet, 단열재, 농업용, 일조조정, Condenser, 도전성 Film,

    전자파 Shield용 등이 있고 그 외에 많은 분야에서 응용전개가 되고

    있습니다.

    진공증착 공정


    ① 진공계

    ▣ 진공의 필요성
         - 증발 입자의 평균 자유행로 증대
         - 산화 방지
         - 불순물 혼입 방지
         - 증발온도의 Down


    ▣ 진공도
         - Upper Section : 10-2 Torr (=mmHg)
         - Lower Section : 10-4 Torr


    ② 증발계

    ▣ 고주파유도가열 방법
        -고주파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목을 가열하는 그릇을

    Crucibl (도가니)이라하여 Crucibl Type 이라고도 합니다.


    ▣ 저항열을 이용한 Boat 가열방법
        - 전기저항체인 Boat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가열시킨후 Al Wire를

    연속적으로 Feeding하는 방법으로 Boat Type이라고 합니다.


    ▣ Al 순도
        - 99.99% : Metallc Yarn
        - 99.90% : Packaging


    ▣ Al 증착두께
        - 금은사 : 1.23 Ω/
        - 포장용 : 1.12 Ω/
        - 콘덴서용 : 1.5 Ω/, 2.0 Ω/, 3.0 Ω/


    ③ 권취계 : 반연속식 증착  (증착속도 : 300m/min)

    용도

    SKC 증착제품의 종류


    Stamping foil


    개요

    Polyester Film상에 여러 가지 다층 기능성 Layer를 Coating 하여

    이것을 전사하고자 하는 물체에 heat와 pressure로써 전사시키는

    Dry Printing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기능

    이것은 보통 인쇄에서 갖지 못하는 광택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color

    변경이 용이하고, printing  방식이 간단하며, Plastic 표면 도금

    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그 용도의  다양화와 더불어 사용량이 증가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구분

    · Hot stamping foil

     - Stamping foil은 대개 이 부류에 속하며 열에 의해 전사시키는

    제품을 말합니다.


    · metallized stamping foil

     - Al type : 현재 생산하고 있는 일반적인 item
     - Cr type : 자동차용에 사용되는 내구성이 좋은 foil


    · Pigment foil

     - 알루미늄 광택성을 이용하지 않고 안료의 불투명성을 이용한 foil


    · Brushed foil (Hairlined film)

     - Hair line 모양의 무늬가 있는 foil   (주로 전자제품에 사용됩니다)


    · Woo Grain foil

     - Wood 모양의 무늬가 있는 foil


    ·  Pressure sensitive foil

     - 압력만 가지고 전사시키는 제품을 말합니다.

    구조

    Carri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Transfer Layer

    PET층

    Release(이형층)

    Lacquer(착색층)

    Al (증착층)

    Adhesives(접착층)

    역할

    · 이형
      Stamping된 부분이 Film과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Coating된 두께에 따라 이형효과가 다릅니다.

    · 착색
      알루미늄층을 보호하고 Color를 부여하기 위해 주로 경화형Resin과

    Dye를 혼합한 액을 Coating하는 공정이며 Stamping foil의 내구성,

    내후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증착
      광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시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크롬, 금, 은증착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접착
      Stamping을 하고자 하는 피착제 종류에 따라 적합한 Resin을 선택

    하여 Coating 하는 공정이며 전사할 피착제에 따라  Formulation 이

    다릅니다.

    접착공정은 Stamping Foil 제조공법상 가장 핵심되는 부분입니다.

    {"google":["Questrial","Roboto"],"custom":["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Questrial","Noto Sans","Roboto","Cardo"],"custom":["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SCDream"]}
    {"google":["Cardo"],"custom":["Noto Sans KR","SCDream"]}